2024-04-29 01:50 (월)
저널리즘 토크쇼 J 비뚤어진 조감도, 언론이 부동산으로 얻는 것/원칙으로 바라본 KBS “유시민-총선 관련 대화가 ‘스모킹건’”보도
저널리즘 토크쇼 J 비뚤어진 조감도, 언론이 부동산으로 얻는 것/원칙으로 바라본 KBS “유시민-총선 관련 대화가 ‘스모킹건’”보도
  • 정진욱 기자
  • 승인 2020.08.15 10: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널리즘 토크쇼 J
저널리즘 토크쇼 J

 

기자들의 취재와 전문가 패널의 토크를 통해 한국 언론 보도의 현주소를 들여다보는 KBS 1TV <저널리즘 토크쇼 J>. J가 2주간의 휴식기를 가지고 101회로 다시 돌아왔다. 101회에서는 <저널리즘 토크쇼 J>에서는 부동산 대책에 대한 언론의 과장보도를 짚어보고, KBS의 ‘한동훈 검사장과 이동재 전 기자 공모 의혹’ 오보에 대해 다뤄본다. 이번 방송을 위해 경제 저널리즘 전문가이자 J의 자문단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봉수 세명대 저널리즘스쿨 교수가 출연해 함께 이야기 나눠본다.  

 

임차인인 듯, 임대인 같은 언론의 보도

 

7·10부동산대책,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 8·4주택공급대책으로 이어지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언론은 연일 부정적인 기사를 보도하고 있다. ‘세금 폭탄’, ‘도살적 과세’라는 과격한 표현을 사용하며 개정된 부동산 세법에 대해 공포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나 기사를 살펴보면 일반 서민들은 공감하지 못할만한 사례들을 들고 있다. 매일경제 <有住有罪, 집 있으면 죄? 이상한 나라의 1주택자> 기사에 등장한 신혼부부는 수백만 원의 재산세 때문에 집 구매를 포기했다고 한다. 역으로 따져봤을 때 200만 원의 재산세를 낼 경우, 공시지가 11억의 집을 구매해야 하는 것. 서민을 대변하는 듯하지만, 이렇듯 공감하지 못하는 사례로 연일 기사를 보도한다. 뉴스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빅카인즈를 통해 분석한 결과 보수언론과 경제지가 가장 많이 주목한 지역 역시 강남, 잠실, 마포 등에 한정되어있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이 통과한 30일, 윤희숙 미래통합당 의원은 ‘저는 임차인입니다’라는 국회 연설로 언론의 찬사를 받았다. “전율이 느껴졌다”, “윤희숙 신드롬”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앞 다투어 보도했다. 그러나 같은 임차인의 입장에서 말했던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의 연설은 철저하게 외면했다. 실제로 ‘윤희숙 연설’이 포함된 제목의 기사와 ‘용혜인 연설’이 포함된 제목의 기사는 10배의 기사량 차이를 보여줬다. 그러나 윤 의원의 연설이 ‘레전드’라며 언론이 드는 근거는 새로운 이유가 아니었다. 임자운 변호사는 ‘임대인의 권리를 제약한다면, 임차인만 손해 볼 것’이라는 윤 의원 연설의 골자가 일부 언론이 늘 주장해왔던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강자를 겨냥하면 결국 약자가 손해 볼 것’이라는 논리와 같다고 지적했다. ‘대기업 규제는 중소기업 도산, 청년실업률 증가로 이어진다’라는 과거 기사들을 언급하며 “특정 계층이 좋아하고 환호할 수밖에 없는 논리”라고 말했다.

 

사라진 임차인의 목소리를 찾아서

 

언론의 부동산 보도를 살펴보면, 부동산학과 교수, 부동산연구원 등 자산 전문가들이 자주 등장한다.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법안에 대해 왜 임차인 단체의 목소리는 없을까? J에서는 청년 임차인의 권리를 위한 시민단체 ‘민달팽이유니온’을 만나 임차인의 관점에서 언론보도가 어떠한지 들어봤다. 최지희 민달팽이유니온 위원장은 ‘언론의 집에 대한 시각이 주거가 아닌 자산으로만 닫혀있다.’라며 청년 임차인의 목소리를 진정성 있게 담아주지 않는 언론에 아쉬움을 표했다. 경제 저널리즘 전문가 이봉수 교수는 부동산 정책에 가장 영향을 받게 되는 사회적 약자 그룹에 대한 이해관계는 전혀 반영이 안 되는 언론의 현 주소를 비판했다.

 

부동산 섹션은 있어도, 주거 섹션은 없는 신문과 포탈 뉴스 페이지. 주택 문제를 ‘자산’이 아닌 ‘주거’에 대한 보도로 나아가기 위해, 언론은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할까. 강유정 교수는 임대인에 빙의해 불안 가중과 공포 조성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닌, 정책적으로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소개해주는 기사가 필요하다고 자성을 촉구했다. 이봉수 교수는 선정적인 과장 보도로 부동산 투기 시장의 플레이어로서 활약하는 언론의 행태를 탈피할 것을 제언했다.

  

원칙으로 바라본 KBS <“유시민-총선 관련 대화가 ‘스모킹건’”> 보도

 

KBS의 7월 18일 오보 논란, 무엇이 문제인지 J에서 조목조목 짚어봤다. 지난 18일, KBS는 한동훈 검사장과 이동재 전 채널A 기자의 녹취록에 공모의 정황이 담겨있다고 보도했다. 기사에서 시청자에게 제시한 근거는 ‘KBS 취재를 종합하면’이라는 표현뿐이었고, 실제로 KBS는 녹취록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로 보도했다. 이에 대해 강유정 교수는 일차적으로 취재원의 팩트가 불분명한 점, 이와 함께 팩트 체킹도 잘 안된 점을 비평하면서 최종적으로 데스킹에도 이런 부분을 관리하는 데 있어 역할이 부재한 점을 지적했다.

 

보도 직후 당사자들의 반발은 거셌고, 다음날인 19일 KBS는 이례적으로 빠르게 사과 보도를 냈다. 그러나 사과의 형식 면에 있어서도 모호한 표현으로 대응해 또 다른 논란을 일으켰다. 임자운 변호사는 뉴욕타임스의 제임스 블레어 사건을 언급하며 오보가 나자 위원회를 구성해 편집국 내 구조적 문제와 재발 방지의 해법을 마련했던 사례를 들며 명확하지 않았던 사과 방식에 대해 비평했다.

 

끊이지 않는 검찰발 익명취재

 

그동안 J에서 수많은 회차를 통해 검찰 취재 보도의 문제점인 검찰발 익명 취재의 부작용을 지적했지만, 언론은 나아지지 않았다. KBS의 18일 보도 이후에도 검찰발 익명 취재는 계속 됐다. 조선일보 8월 5일 <이성윤, 이동재 공소장에 ’한동훈과 공모‘ 적시> 기사는 오보라는 점, 그리고 형식 면에 있어 KBS의 18일 보도와 동일했다. “조선일보의 취재를 종합하면”, “법조계 관계자는”라는 문장이 등장했고, 오후 공개된 공소장에는 공모관계가 적시되지 않아 오보로 판명된 것. 언론의 비원칙적 관행 타파보다 검·언유착이냐 권·언유착이냐는 정치적 싸움으로 진화하고 있는 KBS 오보 논란. 사안의 본질은 무엇인지 J에서 논의해본다.  

 

<저널리즘 토크쇼 J> 시즌2 101회 방송에는 강유정 강남대 한영문화콘텐츠학과 교수, 팟캐스트 진행자 최욱, 임자운 변호사, 이봉수 세명대 저널리즘스쿨 교수, 한승연 KBS 기자가 출연한다. 한국 언론의 현주소를 들여다보는 신개념 미디어비평 프로그램 <저널리즘 토크쇼 J>는 이번 주 일요일 밤 9시 40분, KBS 1TV에서 만나볼 수 있다.

jjubika1@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